[남북미 정상회담 구상]
"南北美 정상 모여 비핵화·美北관계 정상화 합의하는게 목표"

南北美 정상이 終戰선언한 뒤 중국도 참여하는 방식될 듯
文 "장소따라 더 극적인 모습 돼" 회담 장소로 판문점 우선 거론
盧·김정일 '10·4선언'에 있는 내용
"美北대화서 비핵화 진전없다면 文대통령의 희망에 그칠 수도"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한자리에 모이는 남·북·미 3자 정상회담 구상을 처음 공개한 것은 자신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체제' 구상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4월 말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5월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 비핵화와 미·북 수교 문제에 큰 진전이 생기면, 6·25전쟁의 핵심 당사국인 남·북·미 정상이 상징적 '종전(終戰) 선언'을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 비핵화가 CVID(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수준으로 획기적 진전이 없으면 3자 정상회담은 성사되기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문 대통령의 구상이 때 이른 '희망적 사고'에 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남북 정상회담 준비위 2차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문 대통령 왼쪽으로 임종석 비서실장, 서훈 국정원장, 주영훈 경호처장,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남북 정상회담 준비위 2차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문 대통령 왼쪽으로 임종석 비서실장, 서훈 국정원장, 주영훈 경호처장,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이날 남북 정상회담 준비위 2차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남·북·미 정상 간 합의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분명한 목표와 비전을 가지고 있다"며 "한반도 비핵화,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체제와 북·미 관계의 정상화, 남북 관계의 발전, 북·미 간 또는 남·북·미 간 경제 협력 등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그 목표와 비전을 이룰 전략을 담대하게 준비하고, 이를 미국과 공유하도록 충분히 협의하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남북, 미·북 정상회담에서 비핵화 문제가 순조롭게 풀린다면 3자 정상회담을 통해 곧바로 북한 체제 보장을 핵심으로 하는 '종전 선언'을 본격 논의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이런 구상은 2007년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나온 '10·4 선언'에도 구체적으로 나와 있다. '남북은 정전 체제 종식을 위해 3자 또는 4자 정상이 한반도 지역에서 만나 종전 선언을 추진하기 위해 협력한다'는 내용이다. 문 대통령의 3자 정상회담 구상도 '10·4 선언'의 연속선상에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당시에 언급된 3자 또는 4자는 1953년 휴전협정 당사국인 미국, 중국, 북한과 한국이었는데, 이번 3자 정상회담 제안에선 중국이 빠져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중국은 아직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우선 남·북·미가 먼저 만나 종전 협정을 위한 상징적 '선언'을 하고 비핵화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그다음 중국이 참여해 '종전 문서'에 도장을 찍는 방식을 검토하는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가 구상하는 남북, 북미, 남북미 정상회담 로드맵 그래픽

문 대통령은 3자 정상회담과 함께 미·북 간 경제 협력을 여러 번 강조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도 "미·북 정상회담은 설사 성과가 있다 하더라도 선언적 내용이 될 가능성이 크다"며 "경제 협력 문제는 (이후) 지속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청와대가 대북(對北) 제재 완화를 전제로 하는 남·북·미 경제 협력을 비핵화, 북한 체제 보장과 동시에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청와대는 기존 '선(先) 비핵화, 후(後) 평화 체제' 대신 비핵화와 북 체제 보장 동시 추진 구상을 밝힌 바 있다.

남·북·미 정상회담 장소로는 판문점이 우선 거론된다. 문 대통령이 "장소에 따라서는 더욱 극적인 모습이 될 수도 있다"고 말한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 판문점은 6·25 휴전협정을 체결한 장소다. 3자 회담에서 종전 선언을 논의하기에 최적이자 역사적·상징적 장소라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3자 회담과 평화 체제 구상을 강조하면서 현실성보다는 '목표와 비전' '담대함'을 주문했다. 북한이 구체적 비핵화 방안을 제시하지 않고 미국이 반발하면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외교부 차관을 지낸 김성한 고려대 교수는 "북한의 선언적 비핵화 약속만 나온 상황에서 체제 보장과 경제 협력 등 '당근' 이야기가 나오는 3자 정상회담까지 언급한 것은 너무 성급하다"며 "미·북 대화에서 비핵화 진전이 없으면 그다음 전망은 매우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3/22/2018032200283.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