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안보실장도 감감무소식… 文대통령 "빨리하기보단 잘해야"]

- 늦어지는 人事… 검증에 걸렸나
아들 국적·고액 자문료 논란에 유력 후보들 제외됐다는 말 나와

- 文대통령·李총리 후보, 최근 회동
'내각 구성 빨리 끝내자' 공감대
李 총리 후보가 장관 제청할 듯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 취임 9일째를 맞은 18일에도 국가 외교·안보와 정책을 조정하는 국가안보실장과 정책실장 인사를 발표하지 않았다. 청와대는 "당분간 장관 인사도 없을 것"이라고 했다. 청와대는 "신중을 기하고 있다"고 했지만, 검증 등 인사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 같다는 관측도 나온다.

◇검증 문턱에 부딪혔나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장관 인사 발표는 다음 주에는 하나도 없을 예정"이라며 "(청와대) 안보실장도 국방 전문, 외교 전문 크게 두 갈래인데, 지금 어느 분야 전문가를 세울지를 못 정한 상태"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정책실장은 더 늦어질 것"이라며 "다음 주 안에도 마무리가 안 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청와대는 인사 지연 이유에 대해 "중요한 자리인 만큼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고 밝혀왔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은 안보실장과 외교·국방·통일 장관 인사를 한 묶음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후보군에 올라 있는 군과 외교관 출신 인사들을 어떻게 배치해야 최대 효과를 낼 수 있는지 고심하고 있다"고 했다.
 
이미지 크게보기
이낙연 총리 후보, 간부들과 '샌드위치 회의' - 이낙연(오른쪽에서 둘째) 국무총리 후보자가 18일 서울 통의동 사무실에서 총리실 간부들과 함께 샌드위치를 먹으며 회의를 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최병환 국정운영실장, 이 후보자, 노형욱 국무2차장. /국무총리실
그러나 하마평에 오르던 인사들이 내부 검증 문턱을 넘지 못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유력 후보로 거론됐던 한 인사의 경우 국적을 포기해 병역을 면제받은 아들 문제가 제기되면서 후보군에서 제외됐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전직 장성 출신 가운데는 고액의 자문료를 받아 논란이 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청와대 비서진은 국회 청문회 절차가 필요 없지만 '적폐 청산'을 강조해 온 문 대통령으로서는 국민감정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장관 후보로 거론됐던 일부 인사마저 "청문회에 자신이 없다"며 청와대행(行)을 선호해 인사가 지연되고 있다는 관측도 있다. 외교·안보 라인에 비(非)군인 출신을 염두에 뒀던 청와대 기류가 바뀌고 있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여권 관계자는 "북한 미사일 발사 등을 겪으면서 기존 계획보다 군 출신 인사의 필요성도 커지지 않았겠느냐"고 했다.

◇文 "빨리하는 것보다 잘해야"

문 대통령은 적폐청산 등에는 업무지시 형태로 속도를 내지만 인사는 예상보다 신중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문 대통령 참모들은 "대통령은 인사를 빨리하는 것보다는 잘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안보실장 등 장관급 참모뿐 아니라 일선 부처의 청와대 파견 공무원 인사까지 세심하게 들여다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청와대는 각 부처에 "같은 기준이라면 가급적 지방대 졸업자, 지방 출신자, 여성, 장애인 등을 우선순위로 파견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총리 후보자 회동

한편 문 대통령은 지난 17일 청와대에서 이낙연 총리 후보자와 30분 동안 만났다. 문 대통령은 "이 후보자가 청문회 준비를 잘하길 바란다. 여러 차례 이야기했듯이 (나는) 책임총리제·책임장관제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두 분이 빠른 시일 내에 내각 인사를 마무리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말했다.

청와대가 이날 "다음 주까지도 장관 인사 발표는 없다"고 했기 때문에, 조각은 인준 절차를 마친 이낙연 총리 후보자의 제청을 통해 이뤄질 가능성이 커졌다. 국회는 오는 24~25일 이 후보자의 청문회를 열고 31일 국회 본회의에서 임명 동의 표결을 한다. 여권 관계자는 "총리 대행을 맡고 있는 유일호 경제부총리의 제청권 행사보다는 청문회를 통과한 이 후보자가 장관을 제청하는 모양새가 자연스럽다"고 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19/2017051900247.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