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집권 이후 압박 심해져"
 

'고난의 행군' 시절인 1990년대 말~2000년대 초 집중됐던 북한 외교관들의 탈북·망명 행렬은 한동안 뜸하다가 최근 다시 잇따르고 있다. 지난 7월 초 러시아 주재 북한 대사관 소속 3등 서기관 김철성이 가족과 함께 서방으로 망명했고, 지난해 5월에는 에티오피아 주재 북한 대사관의 경제 담당 외교관이 한국에 들어왔다. 재작년에는 태국 주재 북한 외교관이 망명했다. 대북 소식통은 17일 "이외에도 작년과 올해 북한을 탈출한 외교관 수명이 한국에 들어왔다"고 했다.

북한 외교관들은 북한에서 안정된 삶이 보장된 엘리트 계층이다. 북한 당국은 외국 근무자를 선발할 때부터 충성심과 가족 성분 등을 철저히 따지고, 해외 부임 때는 가족 일부를 북한에 인질로 남겨 놓는다.

그럼에도 북한 외교관들의 망명이 최근 잦아진 것은 김정은 체제에 대한 회의감과 실망감이 커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외교관들은 외화 상납 독촉과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인권 개선 압박에 대응하느라 시달리고 있다. 특히 올해 초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국제사회가 대북 교류·인도적 지원 사업 관련 예산을 대폭 축소하면서 외교관들이 본국으로부터 받는 압박이 더 심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전직 북한 외교관 출신 탈북자 A씨는 "해외 주재 외교관 들은 김정은 체제에서 자신과 아이들의 미래가 없다는 사실을 일반 주민들보다 훨씬 빨리 깨닫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정부 소식통은 "잇따른 외교관 망명은 북한 체제를 떠받치는 엘리트들의 이탈이라는 차원에서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박근혜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북한 간부들'을 분리해 '통일에 동참해달라'고 메시지를 보낸 것도 이 같은 맥락"이라고 했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