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에는 이름도 많다. 희다 해서 백주(백주), 탁하다 하여 탁주(탁주), 집집마다 담가 먹지 않는 집이 없다 해서 가주(가주), 농사지을 때 새참이라 하여 농주(농주), 제사지낼 때 제상에 올린다 해서 제주(제주), 백성이 가장 많이 즐겨 마시는 술이라 하여 향주(향주), 나라를 대표하는 술이라 하여 국주(국주)다. 북한의 김정일 위원장이 남한에서 정주영 회장이 들고 간 막걸리를 마셔보고 맛을 칭찬하고 앞으로 많이 가져올 것을 희망했다하니 막걸리는 남북 장벽에 작은 물꼬를 트는 통일주(통일주)라는 또 하나의 이름을 얻게 될 판이다.

막걸리는 한국사람의 체질에 가장 알맞은 술이다. 조선조 중엽 이씨성의 한 판서가 집에 좋은 소주와 가양주가 많은데 굳이 막걸리만 찾아 마시는지라 자제들이 그 이유를 물었다. 이에 판서는 소 쓸개 세 개를 마련시키더니 담즙을 쏟아버리고 그 쓸개 주머니에 소주·약주·막걸리를 따로 따로 담아 매달아 두었다. 며칠 후 열어 보니 소주 쓸개는 구멍이 송송 나고 약주 쓸개도 많이 상했는데 막걸리 쓸개만이 오히려 두터워져 있었다 한다.

막걸리에 오덕(오덕)이 있다 했는데 그것이 한국적 풍토나 생업 그리고 한국인의 생태에 걸맞음을 알 수 있다. 허기를 면해주는 것이 일덕이요, 취기가 심하지 않은 것이 이덕이고, 추위를 덜어주는 것이 삼덕이며, 일하기 좋게 기운을 돋워주는 것이 사덕이고, 평소에 못하던 말을 하게 하여 의사를 소통시키는 것이 오덕이다. 맛도 좋은데다 실생활에 유익하고 덕까지 갖추었기 때문인지 이웃나라들에서도 이 토속주는 예부터 명주로 소문났었다. 한(한)나라 때 낙랑주(낙랑주)가 시문에 올라있고, 양(양)나라 때 고구려 여인이 빚어 파는 곡아주(곡아주)의 명성이 문헌에 나온다. ‘한 잔 신라주의 기운이 /새벽바람에 사라질까 두렵구나’고 읊은 것은 당(당)나라 시인 이상은(이상은)이고―. 서기300년 전후 일본의 응신왕(응신왕)은 백제에서 건너가 후에 일본의 주신(주신)이 되는 수수보리가 담가 바친 백제주를 마시고 이렇게 읊었다. ‘수수보리가 빚어 바친 술에 내가 취했네 /마음을 달래주는 술 웃음을 부르는 그 술에 내가 취했네. ’

중국과 미국 사이를 핑퐁이, 중국과 일본 사이를 팬더가 오가면서 장막 거두는 상징작업을 했듯이 막걸리가 그 작업을 대행했으면 한다.

/kyoutaelee@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